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메이쇼 하리오

덤프버전 :

파일:Meisho_Hario.jpg
이름メイショウハリオ
Meisho Hario
출생2017년 2월 25일 (7세)
성별수컷
털색밤색 (栗毛, 쿠리게)
아비파이로(Pyro)
어미메이쇼 오히(メイショウオウヒ)
외조부맨해튼 카페
생산자미시마 목장
마주마츠모토 요시오
조교사오카다 이나오 (릿토)
성적23전 9승 [9-2-4-8]
17전 6승[중앙]
6전 3승[지방]
총상금4억 6130만 5000엔
1억 8630만 5000엔[중앙]
2억 7500만 엔[지방]
주요
우승
Jpn1제왕상(2022, 2023)
카시와 기념(2023)
G3미야코 스테이크스(2021)
마치 스테이크스(2022)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커리어
3.1. 2022년
3.2. 2023년
4. 기타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일본의 경주마.


2. 혈통[편집]


1대2대3대
파이로
Pyro
2005
파일:미국 국기.svg
펄핏
Pulpit
1994
파일:미국 국기.svg
에이피 인디
A.P. Indy
프리치
Preach
와일드 비전
Wild Vision
1998
파일:미국 국기.svg
와일드 어게인
Wild Again
캐럴스 원더
Carol's Wonder
메이쇼 오히
メイショウオウヒ
2008
맨해튼 카페
マンハッタンカフェ
1998
선데이 사일런스
Sunday Silence
서틀 체인지
Subtle Change
알파인 로즈
Alpine Rose
1999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에스
Kris S.
아미제트
Amizette
* 미스터 프로스펙터 4×5 9.375%
* 헤일 투 리즌 5×5 6.25%
주요 반형제[1]티오 로열(父 리온디즈)(2018)
반형제 티오 로열은 2022년 다이아몬드 스테이크스(G3)를 우승했다.


3. 커리어[편집]



3.1. 2022년[편집]





경주 도중 낙철 이슈가 발생하는 악재를 극복하고 제왕상에서 커리어 첫 JPN1을 우승했다. 이후 JBC 클래식에 도전했지만 5착으로 패하고, 이 다음 출주한 도쿄대상전에서 첫 국제 GI 우승을 노리지만 신흥 강자 우슈바 테소로재팬 더트 더비를 우승한 노투르노에 밀려 3착에 그친다.


3.2. 2023년[편집]



23년도 들어 첫 경기인 페브러리 스테이크스에 출주했다. 같은 코스의 레이스를 우승한 적이 있지만 3승 클래스 조건전이어서, 1600m 거리의 적성에 대한 불안으로 인기는 높지 않은 4번 인기였다. 그러나 크게 늦은 출발을 하고도 매서운 막판 스퍼트로 3착에 드는 데 성공해 나름대로 거리 적성을 인정받았다.


이후 다시 마일 거리인 카시와 기념에 도전해, 타가노 뷰티와 목 차이로 승리를 따내어 Jpn1 2승을 달성한다.


이후 2연패를 노리는 제왕상에서는 크라운 프라이드, 티오 케인스와의 치열한 승부 끝에 코 차이로 크라운 프라이드를 꺾고 우승하며 최초의 제왕상 연패를 달성했다.

올해 코리아컵에 출주를 고려할 수 있다며 예비 등록을 마쳤다고 한다. 내년도 해외 G1 원정 의사를 밝혔는데, 항공기 운송 등 경험을 쌓기 위한 전초전으로 부담이 적은 한국 원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7월 6일 등록을 완료했다고 한다. 이후 8월 11일 초청이 확정되었다. 공교롭게도, 제왕상에서 메이쇼 하리오에 밀려 2착을 기록한 크라운 프라이드 또한 코리아컵에 출주하는 것이 확정되었다는 소식도 같이 나오면서 갑작스러운 재대결을 하게 되었다.

다만 초청 다음 날이 12일에 수락을 유보한다고 밝혔더니 이윽고 16일 기권 의사를 밝혔다. # 워낙에 어필도 했었고, 출주 목적도 목적이었던 만큼 현지에서도 제법 당혹스럽단 반응과 혹시 건강에 이상이 생긴 거 아니냐는 걱정도 나왔다. 어찌 되었건 이로써 초청마의 기권은 코리아스프린트의 샤말에 이어서 두 번째. 일단 메이쇼 하리오를 대신해서 참석할 말은 글로리아 문디.[2]

이후 JBC 클래식에 출주했지만 2착 경쟁권인 노투르노티오 케인스에도 근접하지 못한 4착으로 패했다.

4. 기타[편집]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배당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2020년 (3세)
4.5한신3세 미승리더트 1400m50.2115착히시다 유지와이드 칸트
4.18후쿠시마3세 미승리더트 1700m2.111착(류구 하야부사)
5.16교토3세 1승 클래스더트 1800m52.51110착마츠와카 후마선라이즈 호프
8.23코쿠라3세 이상 1승 클래스더트 1700m19.273착히시다 유지릴리 미니스터
9.6코쿠라3세 이상 1승 클래스더트 1700m6.135착사카이 마나부스마트 아리엘
9.26주쿄3세 이상 1승 클래스더트 1400m2.614착히시다 유지선라이즈 라포르
10.17교토3세 이상 1승 클래스더트 1400m5.121착후지오카 코타(티 트랩)
2021년 (4세)
1.23코쿠라코쿠라조(小倉城) 특별2승더트 1700m10.051착니시무라 아츠야(메이쇼 요카제)
5.2한신텐마바시(天満橋) 스테이크스3승더트 1400m16.3810착마츠와카 후마스즈카 페스타
5.30도쿄쿰푸(薫風) 스테이크스3승더트 1600m15.951착요코야마 카즈오뱀브턴 하트
7.17후쿠시마줄라이 스테이크스L더트 1700m5.622착타나베 히로노부켄신코
10.16한신우즈마사(太秦) 스테이크스OP더트 1800m11.782착이와타 야스나리라이트 워리어
11.7한신미야코 스테이크스GIII더트 1800m13.051착하마나카 스구루(로드 블레스)
12.5주쿄챔피언스 컵GI더트 1800m24.8107착티오 케인스
2022년 (5세)
3.27나카야마마치 스테이크스GIII더트 1800m5.821착하마나카 스구루(켄신코)
5.21주쿄헤이안 스테이크스GIII더트 1900m7.033착티오 케인스
6.29오이제왕상JpnI더트 2000m19.251착(추와 위저드)
11.3모리오카JBC 클래식JpnI더트 2000m5.735착티오 케인스
12.29오이도쿄대상전GI더트 2000m2.313착우슈바 테소로
2023년 (6세)
2.19도쿄페브러리 스테이크스GI더트 1600m10.743착하마나카 스구루레몬 팝
5.4후나바시카시와 기념JpnI더트 1600m3.221착(타가노 뷰티)
6.28오이제왕상JpnI더트 2000m3.921착(크라운 프라이드)
11.3오이JBC 클래식JpnI더트 2000m2.314착킹스 소드


파일:nar_clear1.png 제왕상
(JpnI)
우승마
파일:도쿄도 도기.svg
[ 펼치기 · 접기 ]

1978
로즈 잭
1979
하츠 마모루
1980
카츠 알
1981
아즈마 킹
1982
코난 루비
1983
트러스트 호크
1984
스즈유
1985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로키 타이거
중앙경마 초대 경주 지정 후
1986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톰 카운트
1987
테츠노 카치도키
1988
챔피언 스타
1989
파일:기후현 문장.svg 페이트 노던
199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사이치 브레이비스트
1991
챔피언 스타
199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나리타 하야부사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러시안 골드
1993
하시루 쇼군
199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태빌라이저
중앙경마·지방경마 전국 교류 경주 지정 후
199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라이블리 마운트
199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호쿠토 베가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현 JpnI) 지정 후
1997
콘서트 보이
1998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아부쿠마 포로
1999
파일:이와테현 문장.svg 메이세이 오페라
200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패스트 프렌드
2001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마키바 스나이퍼
200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카네츠 플뢰브
2003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네임 밸류
200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어드마이어 돈
200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타임 패러독스
2006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어주디 미츠오
200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보너빌 레코드
2008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푸리오소
200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버밀리언
2010
파일:후나바시시 시장.svg 푸리오소
201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마트 팔콘
201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트 블리츠
201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홋코 타루마에
201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원더 어큐트
201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홋코 타루마에
2016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코파노 리키
201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케이티 브레이브
201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드 드림
201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오메가 퍼퓸
202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크리소베릴
202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티오 케인스
2022 · 202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메이쇼 하리오



파일:nar_clear1.png 카시와 기념
(JpnI)
우승마
파일:후나바시시 시기.svg
[ 펼치기 · 접기 ]

3세 이상 (연령 표기는 현재 기준)
1989
이시노 럭키
1990
후지노 댄서
1991
파워 딕터
1992
슈퍼 조크
1993
파일:도쿄도 문장.svg 토키노 쿤쇼
1994
파일:도쿄도 문장.svg 야마준 오
1995
야마노 세이코
중앙경마·지방경마 전국 교류 경주 지정 후
1996
파일:도쿄도 문장.svg 히카리 루파스
더트 그레이드제 도입, 통일 GIII(현 JpnIII) 지정 후
199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배틀 라인
1998
아부쿠마 포로
1999
서프라이즈 파워
200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비 마이 나카야마
2001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타마모 스트롱
통일 GII(현 JpnII) 승격 후
2002
토신 블리자드
4세 이상
200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털링 로즈
2004
나이키 어 딜라이트
통일 GI(현 JpnI) 승격 후
200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스트롱 블러드
2006
어주디 미츠오
200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블루 콩코르드
2008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보너빌 레코드
2009 · 201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에스포와르 시티
2011
푸리오소
201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에스포와르 시티
201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홋코 타루마에
2014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코파노 리키
2015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원더 어큐트
2016 · 2017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코파노 리키
2018 · 2019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골드 드림
2020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와이드 파라오
2021
카지노 파운틴
2022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쇼난 나데시코
2023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패비콘.svg 메이쇼 하리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미야코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토파즈 스테이
크스
1983
니혼 필로 위너
1984
롱 레더
1985
로열 코스마
1986
스즈 타카히로
1987
하시켄 엘도
1988
해피 스즈란
1989
마롱 글라세
1990
다이유우사쿠
1991
럭키 겔랑
1992
오스미 로치
1993
토와 나곤
1994
타마모 하이웨이
1995 · 1996
유토세이
1997
프리미엄 썬더
1998
오스미 제트
1999
월드 클리크
2000
호쿠세츠 킹
2001
타마모 루비 킹
2002
에어 피에르
2003
타임 패러독스
2004
에인션트 힐
2005
벨라지오
2006
카페 올림포스
2007
롱 프라이드
2008
에스포와르 시티
2009
실크 뫼비우스
미야코 스테이
크스
중상 승격, 국제 G3 지정 후
2010
트랜센드
2011
에스포와르 시티
2012
로만 레전드
2013
브라이트라인
2014
인캔테이션
2015
루아 자르댕
2016
아폴로 켄터키
2017
티엠 진소쿠
2018
없음
2019
벤전스
2020
클린처
2021
메이쇼 하리오
2022
선라이즈 호프
2023
세라픽 콜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마치 스테이크스
(GIII)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중앙 GIII 중상으로 창설
1994
뱀부 게네시스
1995
토요 리파르
1996
아미 사이클론
1997 · 1998
와일드 블래스터
1999
타야스 케이 포인트
2000
타마모 스트롱
2001
아일랜드 오자
2002
맘보 트위스트
2003
스마트 보이
2004
앙 드오르
2005
쿨링거
2006
히시 아틀라스
국제 G3 지정 후
2007
콰이엇 데이
2008
나나요 히마와리
2009
에스포와르 시티
2010
마코토 스파르비에로
2011
테스타 마타
2012
사일런트 멜로디
2013
그랜드 시티
2014
솔로르
2015
마이네르 크롭
2016
쇼난 아폴론
2017
인캔테이션
2018
센추리온
2019
사토노 티탄
2020
수아브 아라미스
2021
래피어 위트
2022
메이쇼 하리오
2023
하야부사 난데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8:18:20에 나무위키 메이쇼 하리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중앙] A B [지방] A B [1] 중상마만 서술.[2]킹 카메하메하로 Jpn2 다이올라이트 기념과 G3 헤이안 스테이크스 우승마로 레이팅은 코리아컵 신청한 일본마 가운데 3위인 115.